윤석열 대통령 파면 확정! 다음 대통령은 언제? 조기 대선 일정 총정리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를 전원 일치 의견으로 인용,
즉 파면을 결정했습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즉시 헌정 공백 상태에 돌입했고,
60일 이내 조기 대선을 치러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정치권은 이제 숨가쁜 대선 정국에 돌입했습니다.
✅ 헌법상 조기 대선 일정 기준은?
- 헌법 제68조 제2항 “대통령이 궐위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해야 한다.”
- 공직선거법 제35조 제1항 "선거일은 늦어도 선거일 50일 전까지 대통령 권한대행이 공고해야 한다.”
즉, 윤 대통령이 파면된 4월 4일을 기준으로 최대 60일 이내, 6월 3일까지는 반드시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 6월 3일 유력한 이유
- 박근혜 전 대통령도 2017년 3월 10일 파면 후 정확히 60일 뒤인 5월 9일 대선(화요일)
- 전례를 고려할 때 60일째 되는 날 기준으로 선거일이 지정될 가능성 높음
⚠️ 하지만 6월 3일도 변수는 있다?
- 6월 3일 수능 모의고사 등 주요 교육 일정과 중복
→ 이로 인해 5월 말(예: 5월 30일 금요일)로 당겨질 가능성도 존재
📣 선거일 공고는 언제?
-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가 선고일로부터 10일 이내, 늦어도 4월 14일까지 선거일을 공고해야 합니다.
- 정치권은 4월 8일 국무회의에서 선거일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 중앙선관위는 선거일이 확정되면 법정 일정에 따라 후보 등록, 사전투표 등 일정을 발표하게 됩니다.
📊 조기 대선 예상 타임라인
날짜 | 주요 일정 |
4월 4일 | 탄핵 인용일 (대통령 궐위 발생) |
4월 8일 | 국무회의 선거일 공고 가능성 |
4월 14일 안팎 | 각 당 경선 후보 등록 마감 예상 |
5월 10~11일 | 대통령 후보자 등록 |
5월 29~30일 | 사전투표일 |
6월 3일 | 대통령선거일 (60일째, 유력 날짜) |
6월 4일 | 대통령 임기 개시 (당선 즉시 취임) |
🗳️ 여야 대선 레이스, 누가 뛰나?
▶ 국민의힘 대선 후보군 |
▶ 더불어민주당 후보군 |
|
→ 조국혁신당, 야권 일각에서는 전국민 오픈프라이머리 주장도 나옴 |
🎯 대선 당선자는 당일 ‘즉시 대통령’
이번 조기 대선의 당선자는
개표 후 확정과 동시에 대통령직에 취임하게 됩니다.
즉, 별도의 인수위 없이 곧바로 임기 개시가 이루어지는 것이죠.
🗳️ 조기 대선과 정규 대선의 차이점
구분 | 조기 대선 | 정규 대선 |
임기 시작 | 당선 즉시 | 익년 2월 25일 |
임기 기간 | 전임 대통령의 남은 임기 | 5년 |
선거일 지정 방식 | 60일 내 / 요일 제한 없음 | 원칙적 수요일 |
준비 기간 | 약 50~60일 내외 | 통상 180일 이상 |
✅ 결론: 5월 말~6월 초, 대선 임박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확정되면서,
대한민국은 헌정 공백 최소화를 위해 조속한 대선 준비에 돌입해야 합니다.
현 시점 기준, 2025년 5월 30일(금)~6월 3일(화) 사이에
제22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 앞으로 조기 대선까지 남은 시간은 단 60일.
정당, 유권자, 정치권 모두에게 숨가쁜 시간이 될 것입니다.
👉 이런 글도 함께 보세요:
2025.04.04 - [분류 전체보기] - [속보] 윤석열 대통령 파면 확정! 헌재 탄핵 인용 결정문 요약 총정리
2025.04.02 - [분류 전체보기]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일 결정! 헌재 결정 시나리오와 판결 지연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