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윤석열 대통령 파면 확정! 다음 대통령은 언제? 조기 대선 일정 총정리

by Infolounge 2025. 4. 4.

윤석열 대통령 파면 확정! 다음 대통령은 언제? 조기 대선 일정 총정리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를 전원 일치 의견으로 인용,
파면을 결정했습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즉시 헌정 공백 상태에 돌입했고,
60일 이내 조기 대선을 치러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정치권은 이제 숨가쁜 대선 정국에 돌입했습니다.


✅ 헌법상 조기 대선 일정 기준은?

  • 헌법 제68조 제2항 “대통령이 궐위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해야 한다.”
  • 공직선거법 제35조 제1항 "선거일은 늦어도 선거일 50일 전까지 대통령 권한대행이 공고해야 한다.”

즉, 윤 대통령이 파면된 4월 4일을 기준으로 최대 60일 이내, 6월 3일까지는 반드시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 6월 3일 유력한 이유

  • 박근혜 전 대통령도 2017년 3월 10일 파면 후 정확히 60일 뒤인 5월 9일 대선(화요일)
  • 전례를 고려할 때 60일째 되는 날 기준으로 선거일이 지정될 가능성 높음

⚠️ 하지만 6월 3일도 변수는 있다?

  • 6월 3일 수능 모의고사 등 주요 교육 일정과 중복
    → 이로 인해 5월 말(예: 5월 30일 금요일)로 당겨질 가능성도 존재

📣 선거일 공고는 언제?

  •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가 선고일로부터 10일 이내, 늦어도 4월 14일까지 선거일을 공고해야 합니다.
  • 정치권은 4월 8일 국무회의에서 선거일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 중앙선관위는 선거일이 확정되면 법정 일정에 따라 후보 등록, 사전투표 등 일정을 발표하게 됩니다.

📊 조기 대선 예상 타임라인 

날짜  주요 일정
4월 4일 탄핵 인용일 (대통령 궐위 발생)
4월 8일 국무회의 선거일 공고 가능성
4월 14일 안팎 각 당 경선 후보 등록 마감 예상
5월 10~11일 대통령 후보자 등록
5월 29~30일 사전투표일
6월 3일 대통령선거일 (60일째, 유력 날짜)
6월 4일 대통령 임기 개시 (당선 즉시 취임)

🗳️ 여야 대선 레이스, 누가 뛰나?

▶ 국민의힘 대선 후보군

▶ 더불어민주당 후보군

  • 한동훈 전 대표
  •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 오세훈 서울시장
  • 홍준표 대구시장
  • 안철수, 유승민 
→ 국민의힘 경선 룰: 당원투표 50% + 국민 여론조사 50%
  • 이재명 대표 (조만간 사퇴 후 출마 예정)
  • 김동연, 김경수, 김부겸, 김영록, 전재수, 김두관 
→ 민주당은 특별당규 제정 + 경선 선관위 구성 추진 중
→ 조국혁신당, 야권 일각에서는 전국민 오픈프라이머리 주장도 나옴

🎯 대선 당선자는 당일 ‘즉시 대통령’

이번 조기 대선의 당선자는
개표 후 확정과 동시에 대통령직에 취임하게 됩니다.
즉, 별도의 인수위 없이 곧바로 임기 개시가 이루어지는 것이죠.

🗳️ 조기 대선과 정규 대선의 차이점

구분 조기 대선 정규 대선
임기 시작 당선 즉시 익년 2월 25일
임기 기간 전임 대통령의 남은 임기 5년
선거일 지정 방식 60일 내 / 요일 제한 없음 원칙적 수요일
준비 기간 약 50~60일 내외 통상 180일 이상

✅ 결론: 5월 말~6월 초, 대선 임박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확정되면서,
대한민국은 헌정 공백 최소화를 위해 조속한 대선 준비에 돌입해야 합니다.

현 시점 기준, 2025년 5월 30일(금)~6월 3일(화) 사이에
제22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 앞으로 조기 대선까지 남은 시간은 단 60일.
정당, 유권자, 정치권 모두에게 숨가쁜 시간이 될 것입니다.

 

👉 이런 글도 함께 보세요:

2025.04.04 - [분류 전체보기] - [속보] 윤석열 대통령 파면 확정! 헌재 탄핵 인용 결정문 요약 총정리

2025.04.02 - [분류 전체보기]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일 결정! 헌재 결정 시나리오와 판결 지연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