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대 공적연금 비교 총정리! 국민연금·공무원·군인·사학 차이 한눈에

by Infolounge 2025. 3. 31.

4대 공적연금 비교 총정리! 국민연금·공무원·군인·사학 차이 한눈에

“국민연금이랑 공무원연금, 뭐가 달라요?”
“군인연금은 언제부터 받을 수 있죠?”
“사학연금이 제일 많이 받는다던데 사실인가요?”

이런 질문, 한 번쯤 해보셨다면 이 글에서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의 차이를 확실하게 정리해드립니다.
가입 대상부터 수령 조건, 수령액, 재정 상태까지 한눈에 비교해보세요.


1. 4대 공적 연금이란?

대한민국에는 총 4가지 공적 연금 제도가 있습니다.

  • 국민연금: 일반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기본 연금
  • 공무원연금: 국가 및 지방공무원을 위한 연금
  • 군인연금: 현역 군인 및 군무원 대상
  • 사학연금: 사립학교 교직원 대상

각 연금은 가입 대상과 수급 조건, 납부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해당하는 제도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주요 항목별 비교표

항목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가입 대상 전 국민 국가·지자체 공무원 현역 군인·군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기여금 납부율 소득의 9% (4.5+4.5) 기준소득월액의 18% 기준소득월액의 14% 기준소득월액의 18%
최소 가입기간 10년 이상 10년 이상 재직 20년 이상 복무 10년 이상 재직
수령 개시 나이 60~65세 (출생연도별) 퇴직연도 따라 60~65세 퇴역 직후 가능 퇴직연도 따라 60~65세
수령액 평균 55만 원(2021) 평균 254만 원(2021) 평균 277만 원(2021) 평균 294만 원(2021)

※ 납부율은 본인 + 정부 또는 기관 부담 포함


3. 각 연금제도의 특징

✅ 국민연금

  • 전 국민 대상의 보편적 제도
  • 퇴직 후 기초적인 생활비 수준의 노후 보장
  • 민간 직장인, 자영업자 중심

✅ 공무원연금

  • 국가 책임 보장
  • 기여금은 높지만 수령액도 높은 편
  • 퇴직 이후 연금+복지 혜택

✅ 군인연금

  • 20년 이상 복무 시 퇴역 즉시 수령 가능
  • 특수 직역으로 고위험군 대상
  • 수령액은 공무원보다 높음

✅ 사학연금

  • 사립학교 교직원을 위한 제도
  • 구조는 공무원연금과 유사
  • 수령액 평균은 4대 연금 중 가장 높음

4. 연금 수령액 현실 비교 

연금종류 납부구조 월평균납부액 예상 월평균 수령액
국민연금 소득의 9% (직장인 4.5% + 회사 4.5%) 약 27만 원 60만 원 (25년 납부 기준)
공무원연금 기준소득월액의 18% (기여금 9% + 국가 9%) 약 54만 원 260만 원 (30년 재직)
군인연금 기준소득월액의 14% (기여금 7% + 국가 7%) 약 42만 원 280만 원 (30년 복무)
사학연금 기준소득월액의 18% (기여금 9% + 법인 9%) 약 54만 원 290만 원 (30년 재직)

💡 기준소득월액 300만원 가정, 실제 납부액은 개인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 국민연금은 민간 근로자 중심이므로 소득과 납부 기간에 따라 편차가 큼
※ 특수직역 연금은 재직 조건만 충족되면 평균 수령액이 높음


5. 재정 상태 및 향후 전망

  • 국민연금: 2055년 적립금 고갈 예측, 개편 논의 중
  • 공무원연금·군인연금: 이미 매년 재정 적자 발생 중, 정부가 매년 지원
  • 사학연금: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인구 감소에 따라 지속 가능성 우려

➡ 모든 연금이 장기적으로는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마무리: 내게 맞는 연금제도, 제대로 알고 준비하자

공적 연금은 단순한 퇴직금이 아니라, 당신의 노후를 지탱할 핵심 소득원입니다.
가입 대상, 납부 구조, 수령 조건을 이해하고, 내게 맞는 연금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음 글 예고:👉 [국민연금 얼마나 받나? 2025년 기준 수령액과 납부 조건 정리]

블로그 구독 또는 즐겨찾기 해두면 2편부터 자동으로 확인하실 수 있어요!